연구업적(2014. 03. 05 현재)

1. SCI(E) 학술지

(1) Temba Nkomozepi and Sang-Ok Chung. 2014. The impacts and uncertainty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in the Geumho river Basin, South Korea. Journal of Hydro-environment Research (in press). http://dx.doi.org/10.1016/j.jher.2013.08.006.
(2) Sang-Ok Chung. 2013. Projecting future paddy irrigation demands in Korea. Irrigation and Drainage 62(3):297-305. http://dx.doi.org/10.1002/ird.1711.
(3) Sang-Ok Chung and Temba Nkomozepi. 2012. Uncertainty of paddy irrigation requirement estimated from climate change in the Geumho river basin, Korea. Paddy and Water Environment 10(3):175-185. http://dx.doi.org/10.1007/s10333-011-0305-z.
(4) Temba Nkomozepi and Sang-Ok Chung. 2012. Assessing the trends and uncertainty of maize net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estimated from climate change projections for Zimbabw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111:60-67. http://dx.doi.org/10.1016/j.agwat.2012.05.004.
(5) Sang-Ok Chung, Rodriguez-Diaz JA, Weatherhead EK and Knox JW. 2011. Climate change impacts on water for irrigating paddy rice in South Korea. Irrigation and Drainage 60(2):263-273. http://dx.doi.org/10.1002/ird.559.
(6) E.W. Christen, Sang-Ok Chung and W. Quayle. 2006. 9. 16. Simulating the fate of molinate in rice paddies using the RICEWQ model.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85(1):38-46. http://dx.doi.org/10.1016/j.agwat.2006.03.008.
(7) J.G. Won, J.S. Choi, S.P. Lee, S.H. Son and S.O. Chung. 2005. 9. Water saving by shallow intermittent irrigation and growth of rice. Plant Production Science 8(4):487-492. https://www.jstage.jst.go.jp/article/pps/8/4/8_4_487/_pdf.
(8) Sang-Ok Chung, H.S. Kim, and J.S. Kim. 2003. 8. Model development for nutrient loading from paddy rice fields.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62(1):1-17. http://dx.doi.org/10.1016/S0378-3774(03)00078-7.
(9) Sang-Ok Chung, A.D. Ward, and C.W. Schalk. 1992. Evaluation of the hydrologic component of the ADAPT water table management model. Trans. of ASAE 35(2): 571-579.
(10) Sang-Ok Chung and Robert Horton. 1987. Soil heat and water flow with a partial surface mulch. Water Resources Research 23(12):2175-2186. http://dx.doi.org/10.1029/WR023i012p02175.
(11) Sang-Ok Chung and T.A. Austin. 1987. Modeling saturated-unsaturated water flow in soil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113(2):233-250.
(12) Yu-Si Fok, Sang-Ok Chung, and C.C.K. Liu. 1982. Two-dimensional exponential infiltration equations. Journal of Irrigation and Drainage Engineering, ASCE 108(IR4):231-241.

 

2. 국내 학술지

(1) 은코모제피 템바, 정상옥. 2014. 3. Uncertainty of hydro-meteorological predictions due to climate change in the Republic of Korea.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7(3):00-00.(accepted)
(2) 은코모제피 템바, 정상옥. 2014. 1. Modeling future yield and irrigation demand of rice paddy in Korea. 한국농공학회 논문집 56(1):31-40.
(3) 은코모제피 템바, 정상옥. 2013. 7. Uncertainty of simulated paddy rice yield using LARS-WG derived climate data in the Geumho river basin, Korea. 한국농공학회 논문집 55(4):55-63.
(4) 정상옥. 2012. 9.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에 의한 한반도 주요 평야지역 논벼 소비수량 추정.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4(5):35-41.
(5) 은코모제피 템바, 정상옥. 2012. 7. General circulation model derived climate change impact and uncertainty analysis of maize yield in Zimbabwe.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4(4):83-92.
(6) 윤동균, 정상옥, 김성준. 2011. 7. 기후변화가 논 필요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3(4):39-47.
(7) 은코모제피 템바, 정상옥. 2011. 5. Simulation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yield of maize in Zimbabwe.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3(3):65-73.
(8) Chung, Sang-Ok. 2011. 3. Projecting future paddy irrigation demands in Korea using high-resolution climate simulations.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44(3):169-177.
(9) 은코모제피 템바, 정상옥. 2011. 1. Assessing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s for maize in Zimbabwe.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3(1):47-55.
(10) 김충실, 이상호, 정상옥, 여준호, 이순석. 2010. 6. 온실가스 감축의 부수적 가치 추정. 농업생명과학연구 44(3):89-97,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학진등재지(1598-5504)
(11) 정상옥. 2010. 5. FAO-AquaCrop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벼 증발산량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모의.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2(3):57-64.
(12) 정상옥. 2009. 7. 지역기후모형 자료를 이용한 낙동강 권역의 논 관개용수 수요량 예측.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4):5-41.
(13) 정상옥. 2009. 3. 기후변화가 낙동강 권역의 논 관개용수 수요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1(2):35-41.
(14) 정상옥. 2008. 6. 단지내 친수시설 대안의 비교. 한국관개배수. 12(1):46-56.
(15) Park, Ki-Jung and Chung, Sang-Ok. 2008. 7. Scenario-based exposure risk assessment of molinate in a paddy plot : (2) exposure risk assessment.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0(4): 17-24.
(16) Chung, Sang-Ok, Park, Ki-Jung and Son, Seung-Ho. 2008. 3. Scenario-based exposure risk assessment of molinate in a paddy plot : (1) Analysis of simulation results.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0(2): 11-16.
(17) Chung, Sang-Ok, Park, Ki-Jung and Son, Seung-Ho. 2008. 3. Calibration and sensitivityanalysis of the RICEWQ model. 한국농공학회논문집 50(2): 3-10.
(18) Sang-Ok Chung. Ki-Jung Park and E.W. Christen. 2005. 12. Simulation of pesticide fate and transport in drainage channels.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7(7):49-56.
(19) 정상옥. 박기중, E. Christen. 2005. 6. RICEWQ 모형을 이용한 논에서 농약 molinate 이동의 추정. 한국관개배수. 12(1):38-49.
(20) 손성호, 정상옥. 2004. 9. 물 수지 모형을 이용한 절수관개기법 개발.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6(5):51-61.
(21) 손성호, 박기중, 정상옥. 2004. 7. 논 담수심 처리에 따른 관개용수량의 분석.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6(4): 13-21.
(22) 박기중, 정상옥. 2004. 8. 농촌 소유역에서 지하수 유동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8): 687-693.
(23) 박기중, 정상옥. 2004. 7. 농촌 소유역의 지하수 지속가능개발량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7): 581-587.
(24) 정상옥, 박기중. 2004. 7. 소규모 논지대의 관개회귀수량 실측조사 및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37(7): 517-526.
(25) 정지은, 정상옥. 2003. 6. 다목적댐 홍수조절용지 내 경작실태 및 비점오염부하량 조사 분석.한국관개배수 10(1): 44-52.
(26) Sang-Ok Chung. 2002. 12. Institutional management of the irrigation water managementsystem in Korea. 한국농공학회논문집 44(7):74-82.
(27) 김현수, 정상옥, 김진수, 오승영. 2002. 9. 논에서의 영양물질 배출량 추정- (2) 모형의적용.한국농공학회지 44(5): 106-115.
(28) 김현수, 정상옥. 2002. 7. 논에서의 영양물질 배출량 추정- (1) 모형의 개발. 한국농공학회지44(4): 51-61.
(29) 손성호, 정상옥. 2002. 3. 담수심 처리가 논의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지 44(2):67-74.
(30) 김지용, 정상옥. 2001. 12. Tank model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한국관개배수 8(2): 45-54.
(31) 구영모, 배영환, 박금주, 정상옥. 2001. 4. 가로주행식 케미게이션 시스템의 개발. 한국농업기계학회지 26(2): 93-104.
(32) 정상옥, 손성호. 2001. 3. 물수지분석 기법에 의한 논에서의 회귀율 조사분석. 한국농공학회지 43(2): 59-68.
(33) 김현수, 정상옥. 1999. 12. 우리 나라 주요지점의 기준작물 증발산량 산정과 비교. 한국관개배수 6(2): 37-46.
(34) 정상옥, 오창준 1999. 2. 벼의 냉수피해 감소를 위한 관개수온 조사와 대책수립. 한국농공학회지 41(1): 52-59.
(35) Sang-Ok Chung. 1998. 12. A study on the return flow of irrigation water from areservoir. 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40 (English Edition): 1-6.
(36) 정상옥. 1998. 2. 관개계획을 위한 기준작물 증발산량 산정. 한국농공학회지 40(1): 43-48.
(37) 정상옥. 1997. 8. 담수직파재배 논벼의 기준작물 잠재증발산량 산정방법별 작물계수의변화. 한국농공학회지 39(4): 114-121.
(38) 정상옥. 1996. 12. 농업배수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및 저감기법. 한국관개배수 3(2):20-35.
(39) Chung, Sang-Ok, Ward, A. D. and Fausey, N. R. 1995. 12. Evaluation of the metolachlor loss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ADAPT model. 한국농공학회지 37(6):92-102.
(40) 정상옥. 1995. 10. 관재료 및 피복재료별 농경지 암거배수 효과분석. 한국농공학회지 37(5):53-61.
(41) 정상옥. 1995. 6. 농업용 화학물질 이동 추정 모형의 발달-GLEAMS 모형을 중심으로-한국관개배수 2(1):10-19.
(42) 정상옥, 이영대, 민병형. 1994. MODFLOW 모형을 이용한 부곡온천지역 지하수유동해석. 한국수문학회지 27(1):79-87.
(43) 정상옥. 1993. Turbo-tape을 이용한 배추의 점적관개 효과 분석. 한국농공학회지35(4):31-37.
(44) Sang-Ok Chung. 1992. Effect of drainage system on ET and drainage flows.Korea Journal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34 (English Edition):12-19.
(45) 정상옥. 1992. 농업용 저수지 수문조작 모형개발. 한국농공학회지 34(2):40-48.
(46) 정상옥. 1990. 부분적인 멀칭이 토양수분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지32(2):70-83.
(47) 윤학기, 정상옥, 서승덕. 1990. 밭 작물의 최적 관개 수준과 계획용수량 산정.한국농공학회지 32(1):72-86.
(48) 윤학기, 정상옥, 서승덕. 1989. 관개수준이 고추의 수확량 및 소비수량에 미치는 영향.한국농공학회지 31(2):82-91.
(49) 정상옥. 1988. 토양수분 특성함수의 고차 scanning 커브에 대한 간략한 모델.한국수문학회지 21(2):193-201.
(50) 정상옥. 1987. 침투율 측정과 재분배시 토양수분흐름의 추정. 한국농공학회지29(2): 74-81.

3. 대학 학술지

(1) Sang-Ok Chung. 1985. 5. Stochastic modeling of water movement in the saturated-unsaturated zone.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owa State University, Ames, Iowa. USA.
(2) Nkomozepi, T. and Chung, Sang-Ok. 2013. 12. Variation and trends of irrigation requirements of rice paddies in Korea.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1(4):233-239.
(3) Nkomozepi, T. and Chung, Sang-Ok. 2012. 12. Future subsurface drainage in the light of climate change for Daegu, South Korea.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30(2):97-104.
(4) Nkomozepi, T. and Chung, Sang-Ok. 2011. 12. Estimation of grain size data from the hydraulic conductivity. 경북대학교 농학지 29:29-35.
(5) 윤동균, 정상옥. 2006. 12. 유역 토지이용과 저수지 수질의 상관관계 분석. 경북대학교 농학지 24: 49-53.
(6) 정상옥, 김지용. 2000. 12. 무경운 직파재배가 용수량 및 비용절감에 미치는 효과-현장사례연구. 경북대학교 농학지 18: 33-42.
(7) 정상옥, 오창준. 1997. 12. 운문댐 하류 논지역에서의 냉수피해 조사연구. 경북대학교 농학지 15: 39-46.
(8) 김현수, 정상옥. 1997. 12. 지역별 관개 계획기준년 선정과 기준작물 잠재증발산량 비교.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11: 99-108.
(9) 김현수, 정상옥. 1995. 12. GLEAMS 모형을 이용한 농약유실의 추정.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9: 189-202.
(10) 정상옥. 1992. 12. 수치모형을 이용한 지하수 흐름해석.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논문집 6: 41-53.
(11) 정상옥, 윤학기. 1992. 배수계통이 증발산량과 배수량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논문집 52: 349-356.
(12) 정상옥, 김대영. 1990. 우리나라의 지하수 이용실태 및 수요량 추정. 경북대학교 논문집 49: 203-211.
(13) 정상옥. 1987. SARIMA 모델을 이용한 하천유량의 시계열 분석. 경북대학교 논문집 43: 281-292.


4. 저서/역서

(1) Barker, R., Chung, Sang-Ok, et al. 2001. 10. Water use efficiency in irrigation in Asia.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Tokyo, Japan. 241pp. ISBN: 92-833-2275-4.
(2) Chung, Sang-Ok. 2001. 9. Drainage improvement in paddy fields. (in) Rice Culture in Asia.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Seoul, Korea. pp99-106. ISBN: 89-952433-0-593520.
(3) Robert Horton and Sang-Ok Chung. 1991. Soil heat flow. (in) Modeling Plant and Soil Systems (Eds. J. Hanks and J.T. Ritchie), Agronomy No. 31,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ISBN: 0-89118-106-7.
(4) 김진수, 정상옥, 윤춘경, 박종화, 강문성. 2013. 12. 아름다운 농어촌의 물 이야기. 농림수산식품부, 135pp. ISBN 979-11-5610-026-3.
(5) 정상옥 외 7인. 2012. 12.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배수편). 농림수산식품부, 434pp.
(6) 정상옥 외 10인. 2011. 12. 물 용어사전.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시그마프레스 338pp.
(7) 정상옥 외 10인. 2011. 8. 물 용어집. 한국물학술단체연합회. 시그마프레스 1,214pp.
(8) 정하우, 정상옥 외 10인. 2006. 2. 관개배수공학 (제2판). 동명사 424pp.
(9) 김태철, 정상옥 외 4인. 2005. 12.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양배수장편). 농림부, 613pp.
(10) 정상옥. 2003. 2. 기초 수리학. 형설출판사. 485pp.
(11) 정상옥. 2003. 3. 수리학실험. 도서출판 일일사. 114pp.
(12) 구자웅, 정상옥 외 5인. 2001. 11.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배수편). 농림부, 406pp.
(13) 김주창, 정상옥 외. 2000. 11. 농어촌정비공사 전문시방서 (토목편). 농림부.
(14) 정상옥 외 25인. 2000. 8. 농업과 환경. 도서출판 일일사. 352pp.
(15) 정상옥 역. 2000. 3. 농업배수 수질관리. 한국관개배수위원회. 106pp.
(16) 강경흠, 정상옥 외 8인. 1999. 12. 농업토목공사 표준시방서. 농림부. 303pp.
(17) 정하우, 정상옥 외 5인. 1999. 3. 관개배수공학. 동명사 376pp.
(18) 구자웅, 정상옥 외 6인. 1993. 9. 신고 수리학. 향문사. 449pp.
(19) H.W. Chung, Sang-Ok Chung, and N.H. Lee. 1990. Irrigation Principles.Postgraduate Program on Irrigation Water Systems Management &Operations.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Development, Seoul NationalUniversity, Seoul, Korea.
(20) Sang-Ok Chung, K.H. Lee, N.H. Lee, and S. Kim. 1990. Water ResourcesSystems Analysis. Postgraduate Program on Irrigation Water SystemsManagement & Operations.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Development,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1) S.W. Park, Sang-Ok Chung, and S.H. Lee. 1990. Natural Water Supply Systems.Postgraduate Program on Irrigation Water Systems Management &Operations.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Development, Seoul NationalUniversity, Seoul, Korea.


5. 국제학술회의 Proceedings

(1) Yoon, K.-S., Choi, S.-M. and Chung, Sang-Ok. 2014. 09. Irrigation Management Transfer between the Public Irrigation Management Institutions and Role of PIM in Korea. Transactions 23th Congress on Irrigation and Drainage, Kwangju, Korea. p.000.
(2) Nkomozepi, Temba and Chung, Sang-Ok. 2013. 10. Modeling the future water footprint of paddy rice in the Republic of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PAWEES 2013 International Conference, Chungju, Korea. p.60.
(3) Chung, Sang-Ok. 2013. 10.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 foreign countries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 Kore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Water Forum, October 2, Gyeongju, Korea pp.321-351.
(4) Chung, Sang-Ok and Nkomozepi, Temba. 2011. 10. Uncertainty of paddy irrigation requirement estimated from climate change projections in the Geumho river basin, South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PAWEES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Taipei, Taiwan. p.67.
(5) Yun, Dong-Koun, Kim, Young Deuk, Chung, Sang-Ok and Jo, Jin hoon. 2011.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for paddy rice in Korea with climate change. Paper presented at the PAWEES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Taipei, Taiwan. p.96.
(6) Chung, Sang-Ok. 2011. 10. Projecting future paddy irrigation demands in Korea. Transactions 21th Congress on Irrigation and Drainage, Teheran, Iran. p.320.
(7) Yun, Dong-Koun, Chung, Sang-Ok, Jo, Jinhoon, and Kim, YoungDeuk. 2011. Estimation of crop water requirement in Korea with climate change. Transactions 21th Congress on Irrigation and Drainage, Teheran, Iran. p.100.
(8) S.O. Chung. 2010. 8. Irrigation system management in Korea. Water resources and irrigation projects management in Korea Symposium,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69-91.
(9) S.O. Chung. 2009. 10. 07. Simulating yield response of rice to climate change, PAWEES 2009 International Conference, Bogor, Indonesia.
(10) S.O. Chung. 2007. 4. 20. Water saving by shallow intermittent irrigation in paddy field. Special lecture, Shenyang Agricultural University, China.
(11) S.O. Chung, E. Christen and W. Quayle. 2005. 12. Preliminary modeling of pesticide fate in drainage channels using the RIVWQ model. Proceedings of MODSIM conference, Melbourne, Australia. pp.2644-2650.
(12) E. Christen, S.-O. Chung and W. Quayle. 2005. 12. Simulating the herbicide molinate in rice paddies using the RICEWQ model. Proceedings of MODSIM conference, Melbourne, Australia. pp.2636-2643.
(13) Sang-Ok Chung. 2005. 11. Modeling pesticide fate and transport in paddy field and drainage channels. INWEPF symposium on the water and environment in paddy fields. Seoul, Korea. pp.107-122.
(14) Wijayaratna, C.M., Chung, Sang-Ok, et al. 2004. 12. Linking Main System Management for Improved Irrigation Management,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Tokyo, Japan. 153pp.
(15) Sang-Ok Chung. 2003. 10.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Seminar on Water Resources Management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Productivity, held in Lahore, Pakistan by the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16) J.G. Won, J.S. Choi, S.P. Lee, S.H. Son and S.O. Chung. 2003. Rice growth and water productivity with less water irrigation. Japanese Journal of Crop Science Vol. 72 Special Issue 362-363.
(17) Yu-Si Fok, and Sang-Ok Chung. 2002. Demand-side drip irrigation method. American Geophysical Union, Fall Meeting Abstract 83(47).
(18) Sang-Ok Chung. 2002. 6. Effects of ponded depth treatment on water balance in paddy fields. Proceedings of the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New trend in water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for safety and life, Capri, Italy June 24-28, 2002.
(19) Sang-Ok Chung. 2002. 6. Irrigation Management System in the Republic of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Seminar on Linking Main System Management for Improved Irrigation Management, held in Colombo, Sri Lanka by the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20) Sang-Ok Chung. Tae-Hong Ahn, and Seung-Duk Suh. 2001. 9. Effects of ponding depth on irrigation water requirement and no-till direct seeding on cost reduction in paddy field. Proceedings of the 1st Asian Regional Conference. ICID. Vol A. A29:1-11, heled in Seoul, Korea .
(21) Sang-Ok Chung. 2000. 7. Water balance analyses of an irrigated paddy field. Proceedings of Asian regional workshop on sustainable development of irrigation anddrainage for rice paddy fields. Tokyo, Japan. Japanese National Committee of ICID.pp.276-280.
(22) Sang-Ok Chung. 1999. 11. Perspective of the Agricultural Water Use in the Republic of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Seminar on Water Use Efficiency in Irrigation, held in Taipei, Taiwan by the Asian Productivity Organization.
(23) Sang-Ok Chung, A.D. Ward, N.R. Fausey, W.G. Knisel, and T.J. Logan. 1992. An Evaluation of the ADAPT water table management model.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Drainage Symposium. pp.337-344. ASAE, St. Joseph, MI.
(24) Sang-Ok Chung, A.D. Ward, N.R. Fausey, and T.J. Logan. 1991. Evaluationof the pesticide component of the ADAPT water table management model.ASAE Paper No. 91-2632, St. Joseph, MI.
(25) Sang-Ok Chung. 1989. The effects of mulch cover on soil moisture flow.The Seventh Afro-Asian Regional Conference, ICID, Tokyo, Japan, Vol I-C,pp.531-540.
(26) Yu-Si Fok and Sang-Ok Chung. 1988. Infiltr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needs. Post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iltrationDevelopment and Application, University of Hawaii, Honolulu, Hawaii,pp.5-15.
(27) Sang-Ok Chung. 1987. Simulation of three-dimensional infiltration from apoint source.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iltrationDevelopment and Application, Honolulu, Hawaii, pp.114-123.
(28) Yu-Si Fok and Sang-Ok Chung. 1987. Needs for infiltration development andapplication. ASAE Paper No. 87-2533, St. Joseph, MI.
(29) Sang-Ok Chung and R. Horton. 1985. Simulation of two-dimensional soil heatand water flow. Agronomy Abstract, p.139.
(30) Sang-Ok Chung and Yu-Si Fok. 1981. Two-dimensional infiltration equations inpower forms for homogeneous soil. Transactions of American GeophysicalUnion 62(45):872.


6. 국내학술회의 Proceedings

(1) 은코모제피, 정상옥. 2013. 10. 기후변화에 따른 우리나라의 수문 기상학적인 불확실성.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46.
(2) 정상옥. 2012. 09.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에 의한 한반도 주요 평야지역 논벼 소비수량 추정.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32.
(3) 은코모제피, 정상옥. 2012. 09. Design of subsurface drainage for paddy to upland field transfer in the light of climate change.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33.
(4) 정상옥. 2011. 09. 논 관개용수 수온상승 방법의 검토.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7.
(5) 은코모제피, 정상옥. 2011. 09. 기후변화에 따른 짐바브웨 옥수수 필요수량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11.
(6) 은코모제피, 윤동균, 정상옥. 2011. 9. 기후변화에 따른 논 필요수량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61.
(7) 윤동균, 이용갑, 장춘만, 정상옥, 이승오. 2011. 9. 수치해석을 통한 수문이 설치된 도관 내 소요공기량 고찰.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35.
(8) 윤동균, 조진훈, 김진택, 한국헌, 나민철, 정상옥. 2011. 9. 저수지 취수시설 공기통 내 공기량 산정식에 대한 고찰.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30.
(9) 정상옥. 2011. 7. 다원적 기능을 고려한 농업용수 개발 및 관리방안. 농촌지역 수자원 관리 및 친수공간 활용에 관한 심포지움. 대구경북 물포럼. p.119-138.
(10) 은코모제피 템바, 정상옥. 2010. 10. 기후변화가 짐바브웨 옥수수 관개요구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25.
(11) 윤동균, 김진택, 조진훈, 정상옥. 2010. 10. 농업용저수지 취수시설 공동현상 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29.
(12) 윤동균, 정상옥, 김성준. 2010. 05. 기후변화를 고려한 농업용 저수지 필요저수량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82.
(13) 윤동균, 정상옥, 김성준. 2010. 05. MM5를 이용한 충청남도지역 농업용 저수지 필요저수량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pp.390.
(14) 정상옥. 2010. 02. 기후변화가 농업용수에 미치는 영향. 낙동강 살리기 사업의 효율적 추진방안 심포지움.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p.89-113.
(15) 정상옥. 2009. 10. 고해상도 기후예측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논 관개용수량 추정.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38.
(16) 정상옥. 2008. 5. 상업단지내 친수시설 대안의 비교.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30.
(17) 정상옥, 박기중. 2007. 10. 논지대 수계환경에서 농약의 노출 위험도 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81.
(18) 정상옥, 박기중. 2006. 10. 논에서 농약의 노출 위해성 평가.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30.
(19) 박기중, 정상옥, 박영진, 박창규. 2006. 2차원 수리동역학적 수치모형을 이용한 새만금호 내 유동 해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121.
(20) 박기중, 정상옥. 2005. 10. RICEWQ-RIVWQ 연계모형을 이용한 농약 PECs 모의.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97.
(21) 윤동균, 정상옥. 2005. 10. 저수지 유역 토지이용과 저수지 수질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90.
(22) 박기중, 정상옥, Christen, E. 2004. 11. RICEWQ 모형을 이용한 논에서 농약이동의 추정.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96.
(23) 박기중, 정상옥. 2004. 5. 모형을 이용한 농촌 소유역 지하수 적정개발량 평가. 한국수자원 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수자원학회. p.127.
(24) 손성호, 박기중, 정상옥. 2003. 논 담수심 처리에 따른 물수지 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pp.263-266.
(25) 박기중, 손성호, 정상옥. 2003. 농촌 소규모 유역의 지하수 적정개발량 평가.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307-310.
(26) 손성호, 박기중, 정상옥. 2002. 담수심 처리가 논의 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9-12.
(27) 손성호, 정상옥. 2002. 저수두에서 기계식 관수로 유량계의 적용성 평가.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53-56.
(28) 정지은, 정상옥. 2002. 비점원 오염관리를 위한 식생여과대의 적용. 한국농공학회 학술 발표회 논문집 pp.417-120.
(29) 손성호, 정상옥. 2001. 담수심 처리가 논의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99-105.
(30) 김지용, 박기중, 정상옥. 2001. 농촌유역의 강우-유출분석.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93-98.
(31) 김현수, 정상옥, 김진수. 2001. 논에서의 영양물질 부하량 예측모형 개발.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445-450.
(32) 정상옥, 안태홍. 2000. 10. 용수절약형 논관개 기법. 2000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108-113.
(33) 정상옥, 김지용, 안태홍. 2000. 10. 직파재배 벼의 영농기법 및 비용절감 효과-현장사례연구. 2000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144-150.
(34) 정상옥. 2000. 3. 21세기의 물, 농업, 농촌. 제8회 세계 물의 날 기념 세미나. 농업기반공사, 한국관개배수위원회. pp.3-43.
(35) 정상옥, 박기중. 1999. 10. 기준작물(잔디)의 증발산량 실측치와 모형 추정치의 비교. 1999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123-129.
(36) 정상옥, 오창준. 1998. 10. 관개수온과 벼의 냉수피해. 199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14-21.
(37) 정상옥. 1997. 10. 관개계획을 위한 기준작물 증발산량 산정. 1997년도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1-6.
(38) 정상옥, 오창준, 남효석. 1997. 10. 저수지 농업용수 회귀율 조사연구. 1997년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46-51.
(39) 정상옥. 1996. 11. 농업배수가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In) 농업환경과학연구의 최근동향. 1996년도 NICEM 해외교육훈련 결과 심포지움. 서울대학교 농업과학공동기기센터. pp.193-220.
(40) 정상옥. 1996. 10. 농업배수가 지표수 및 지하수 수질에 미치는 영향. 199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73-78.
(41) 정상옥. 1995. 지하수면 관리모형 ADAPT의 농약 부모형 평가. 199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16-21.
(42) 정상옥. 1995. 농업용 화학물질 이동 추정 모형의 발달-GLEAMS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관개배수위원회 제4회 정기총회 및 연구발표. 한국관개배수위원회. pp.77-92.
(43) 정상옥. 1994. 농업생산기반사업 관련연구 실적과 추진방향.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농공학회. pp.17-21.
(44) 정상옥. 1993. 일본의 농지기반 정비사업에 관하여. 1993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농공학회. pp.27-30.
(45) 정상옥, 이영대, 민병형. 1993. MODFLOW 모형을 이용한 부곡온천지역 지하수흐름해석. 제 35회 수공학 연구 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수문학회. pp.191-200.
(46) 정상옥. 1992. 미국 중서부지방의 관개배수 연구.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농공학회. pp.13-16.
(47) 정상옥. 1989.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관측치로 부터 상호 흐름 관계의 추정.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농공학회. pp.60-68.
(48) 정상옥. 1988. 포화층 및 불포화층에 대한 토양수분흐름의 모델링. 제 30회 수공학연구발표회 논문초록집. 한국수문학회. pp.85-92.
(49) 정상옥, 천만복. 1988. 고랑관개에서의 이차원적인 침투흐름의 분석. 학술발표회논문초록집. 한국농공학회. pp.51-54.
(50) 정상옥. 1987. 토양속의 물과 열의 흐름에 대한 모델링. 창립 30주년 기념심포지움.한국농공학회지 29(3):96-105.


7. 연구 보고서

(1)

정상옥 외. 2013. 12. 농업용수관리 일원화 방안. 한국농어촌공사, 91pp.

(2)

정상옥 외. 2013. 12.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코드체계 표준화 방안. 농어촌연구원, 91pp.

(3)

정상옥 외. 2013. 11.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홍모책자 작성. 농어촌연구원, 90pp.

(4)

정상옥 외. 2013. 06. 울산포항 복선전철 제2공구(송정∼입실) 모화저수지 통과구간 변경설계 자문보고서. 한국농공학회 (대림산업 주식회사), 44pp.

(5)

정상옥 외. 2012. 12.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계획설계기준 (배수편) 작성연구. 농어촌연구원, 91pp.

(6)

정상옥. 2011. 10. 영천댐하류 냉해피해 개선 용역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포항권관라단. 101pp.

(7) 정상옥. 2011. 04. 양호1지구 우수관거 수리검토 보고서. 세영종합건설(주). 15pp.
(8) Christen, E., Quayle, W., Chung, S.-O. and Park, K.-J. 2005. 6. Modelling the fateof molinate in rice paddy of South Eastern Australia using RICEWQ. Australia CSIRO Land and Water Technical report No. 12/05, 54pp.
(9) T.A. Austin and Sang-Ok Chung. 1984. Groundwater quantity and quality:Ames-Cambridge reach of the Skunk river. Final Report No. 84290, WaterResources Research Institute, Iowa State University. 51pp.
(10) Sang-Ok Chung, S. Lau, C.K.K. Liu, and H. Gee. 1982. Formation of transition zone in a basal aquifer under pumping stresses. Technical memorandum report No. 66,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University of Hawaii. 21pp.
(11) 김충실, 정상옥 외. 2008. 8. 에너지-경제-환경 통합분석 모형에 기반한 온실가스 감축의 편익/비용 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31p.
(12) 정상옥. 2008. 10. 농업용수 회귀수량 표본조사. (주) 도화종합기술공사. 95pp.
(13) 정상옥. 2007. 9. 내의지구 지표수보강개발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의성지사. 166pp.
(14) 정상옥. 2007. 6. 이시아폴리스 수로개발 및 단산지 이용 타당성 검토. (주)이시아폴리스.68pp.
(15) 정상옥. 2007. 5. 논지대 수계환경에서 농약의 노출위험도 분석. 한국학술진흥재단연구보고서. 43p.
(16) 정상옥. 2006. 12. 구룡포지구 지표수보강개발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포항지사. 169pp.
(17) 정상옥. 2006. 11. 금오지구 수리시설개보수사업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구미지사. 73pp.
(18) 정상옥. 2006. 11. 석계지구 수리시설개보수사업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경주지사. 67pp.
(19) 정상옥. 2006. 11. 차당지구 수리시설개보수사업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영천지사. 86pp.
(20) 정상옥. 2006. 11. 도천지구 수리시설개보수사업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영덕지사. 93pp.
(21) 정상옥. 2006. 10. 덕인지구 경지정리사업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영덕지사. 74pp.
(22) 정상옥. 2006. 10. 양서4지구 수리시설개보수사업 사전재해영향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의성지사. 71pp.
(23) 정상옥. 2006. 5. 대곡지구 점토장부지 사전환경성검토서. 한국농촌공사 안동지사. 74pp.
(24) 정상옥. 2005. 8. 신산지구 경지정리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의성지사. 142pp.
(25) 정상옥. 2005. 8. 안계3지구 대구획 경지정리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의성지사.156pp.
(26) 정상옥. 2004. 11. 성주댐 유역의 환경변화조사 및 보전대책수립. 농업기반공사 성주지사. 138pp.
(27) 정상옥. 2004. 10.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 기본구상 (문경시 상내권역). 농업기반공사. 34pp.
(28) 배상근, 정상옥.외 2004. 6. 지형 지질특성별 지하수개발 평가기술개발. 수자원의 지속적확보기술 개발사업단 연구보고서. 600pp.
(29) 정상옥. 2004. 4. 낙금지구 배수개선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칠곡지사. 185pp.
(30) 정상옥. 2004. 4. 관답지구 배수개선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포항지사. 171pp.
(31) 정상옥. 2004. 1. 낙동강유역 농업용수 회귀수량 현장조사 보고서. (주)유신코퍼레이션.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109pp.
(32) 박양춘, 정상옥 외. 2003. 12. 화북댐 주변지역 경제활성화방안 수립조사. 경북대학교지역개발연구소. 195pp.
(33) 정상옥. 2003. 12. 용수절약형 논 관개기법 개발. 농림부 농특과제 연구보고서. 경북대학교농업과학기술연구소. 150pp.
(34) 정상옥. 2003. 12. 대곡지구 농촌용수개발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농업기반공사 안동지사. 168pp.
(35) 정상옥. 2003. 11. 성곡지구 점토장부지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경산지사. 130pp.
(36) 정상옥. 2003. 9. 경북대학교 군위 부속실험실습장 경지정리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경북대학교 환경과학연구소. 137pp.
(37) 정상옥. 2003. 5. 기산지구 배수개선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성주지사. 156pp.
(38) 권순국, 정상옥, 최중대, 권기석. 2003. 4. 다목적댐 홍수조절용지내 경작이 호소수질에미치는 영향. 258pp. 한국수자원공사.
(39) 정상옥. 2003. 1. 용곡지구 지표수 보강개발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경주지사. 160pp.
(40) 정상옥. 2002. 9. 가화지구 경지정리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 농업기반공사 문경지사. 151pp.
(41) 정상옥. 2002. 7. 금계지구 대구획경지정리사업 사전환경성검토서.농업기반공사 상주지사. 158pp.
(42) 정상옥, 박기중. 2002. 2. 지하댐 개발 현황과 전망. 2001년도 한국수자원학회 기초과제연구보고서. pp.225-250. 한국수자원학회.
(43) 정상옥. 2001. 11. 농업용 저수지 환경용수 및 농촌하천 홍수피해 사례조사(경북지역)보고서.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위촉연구보고서.
(44) 정상옥. 2001. 3. 물수지분석 기법에 의한 논에서의 회귀율 조사. 한국학술진흥재단연구보고서. 31p.
(45) 정상옥. 2000. 12. 농촌용수 수위관측 및 유량측정 용역 (선장, 상화) 보고서. 농업기반공사. 35p.
(46) 정상옥. 2000. 1. 금호강 하천점용 및 공작물 (인공폭포) 설치에 대한 수리검토 보고서.LG건설주식회사. 11pp.
(47) 정상옥. 1999. 12. 농촌용수 수용량조사 용역(선장, 상화지구)보고서. 농어촌진흥공사. 31p.
(48) 구영모, 정상옥 외. 1998. 12. 전작의 초생력 자동화 통합 chemigation system의 개발. 농림부. 251pp.
(49) 정상옥. 1997. 낙동강 유역 농업용수 회귀율조사 (경상북도)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4pp.
(50) 정상옥. 1997. 운문댐 하류 냉해방지 대책 보고서. 한국수자원공사. 208pp.
(51) 정상옥. 1997. 낙동강수계 유량측정 조사(중류지역) 보고서. (주) 금호엔지니어링. 33pp.
(52) 김현영, 정하우, 정상옥. 1997. 영농방식 변화에 따른 필요수량 변화연구(III). 농림부,농어촌진흥공사. 306pp.
(53) 김현영, 정하우, 정상옥. 1996. 영농방식 변화에 따른 필요수량 변화연구(II). 농림부,농어촌진흥공사. 288pp.
(54) 김현영, 정하우, 정상옥. 1995. 영농방식 변화에 따른 필요수량 변화연구(I). 농림수산부, 농어촌진흥공사. 214pp.
(55) 최지용, 정상옥 외. 1995. 비점오염원 조사연구사업 보고서. 환경부. 571pp.
(56) 정상옥. 1995. 비점오염원 배수구역별 자료조사 및 수질-수량 측정 (낙동강). 한국 환경기술개발원. 141pp.
(57) 정상옥. 1993. Turbo-tape 을 이용한 최적 점적관개 기법개발.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23pp.
(58) 김호탁, 강봉순, 정상옥. 1993. 전환기 한국 농업생산기반 및 환경정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III). 농림수산부, 농어촌진흥공사. 196pp.
(59) 한인규, 정상옥외. 1992. 전환기 한국 농업생산기반 및 환경정비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II). 농림수산부, 농어촌진흥공사. 245pp.
(60) 안재숙, 정상옥외. 1992. 2000년대를 향한 농조발전 기반정립에 관한 연구. 농지개 량조합연합회, 농지개발연구소. 277pp.
(61) 민병형, 정상옥, 이영대. 1992. 부곡골프장 지하수양수와 온천지역 온천수량과의 상관성 조사연구. 유원개발주식회사. 135pp.
(62) 정상옥. 1991. 농업용 저수지 수문조작 모형 개발. 한국학술진흥재단 연구보고서 29pp.
(63) 정상옥, 배상근. 1990. 지하수 관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01pp.
(64) 정상옥. 1990. 부분적인 멀칭이 토양수분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재단 연구보고서. 56pp.
(65) 정하우, 정상옥 외. 1990. 밭작물 소비수량 산정방법 정립연구(IV). 농림수산부, 농업진흥공사. 272pp.
(66) 정하우, 정상옥 외. 1989. 밭작물 소비수량 산정방법 정립연구(III). 농림수산부, 농업진흥공사. 228pp.
(67) 정하우, 정상옥 외. 1988. 밭작물 소비수량 산정방법 정립연구(II). 농림수산부, 농업진흥공사. 201pp.

 

8. 기타 (자료, 보문, 논설, 강좌 등)

(1)

정상옥. 2011. 09. 친수 기능을 고려한 농촌용수 개발 및 관리방안. 한국수자원학회지 물과 미래 43(9):14-19.

(2)

정상옥, 윤동균. 2011. 03. 댐 (저수지) 취수시설 공기관 설계기법. 한국수자원학회지 물과 미래 44(3):59-67.

(3)

정상옥. 2010. 08. 미국 Imperial 계곡과 Yuma 지역의 관개농업. 한국농공학회지 전원과 자원 52(3):46-56.

(4)

정상옥. 2010. 06. 미국 콜로라도강 수자원 개발과 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물과 미래 43(6):76-72.

(5)

정상옥. 2009. 07. 기후변화에 대한 연구 소개. 한국관개배수 16(1):4-10.

(6) 정상옥. 2006. 12. 환경 및 재해 영향성 검토협의와 평가대행자 등록. 한국농공학회지 48(4):60-70.
(7) 정상옥. 2006. 12. 모델링 접근방법과 모형의 선정. 한국관개배수 13(2):105-114.
(8) 정상옥. 2006. 10. 효율적인 농업용수 관리기법. (In) 농업경제와 정책.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최고농업경영자과정 강의교재. pp.275-288.
(9) 정상옥. 2006. 8. Principles of farm irrigation. Lecture note for Vegetable Cultivation Technology Course by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ining Center, KyungpookNational University.
(10) 정상옥. 2005. 9. 호주 Snowy Mountains Scheme의 소개. 한국수자원학회지. 38(5):89-95.
(11) 박기중, 정상옥. 2005. 6. 성주호의 퇴사량 조사 분석 및 배사대책 수립. 농어촌과 환경 제 87호 pp.82-93.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12) 정상옥. 2004. 6. 농업토목공학 분야의 국제적 연구동향 -관개배수 및 농지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관개배수 11(1):113-121.
(13) 정상옥. 2004. 3. 일본 큐슈 구마모토 지역의 지하수 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37(2):74-81.
(14) 정상옥. 2003. 12. 효과적인 농촌용수 확보방안. 농어촌과 환경. 농업기반공사통권 81호 pp.39-46.
(15) 박기중, 정상옥. 2002. 12. 우리나라의 환경영향평가 제도 및 농촌개발사업. 한국관개배수 9(2):94-105.
(16) 정상옥. 2002. 11. 이집트의 수자원과 관개사업. 한국농공학회지 44(6):7-11.
(17) 정상옥, 정지은. 2002. 6. 비점원 오염관리를 위한 식생여과대의 적용. 한국관개배수9(1):103-111.
(18) 정상옥. 2001. 7. Murray-Darling basin의 종합유역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34(4):110-116.
(19) 정상옥, 안태홍. 2001. 6. 벼 직파재배 기법 및 천수 간단관개 개법. 한국관개배수8(1):150-159.
(20) 정상옥. 2001. 5. 유효우량에 대한 소고. 한국농공학회지 43(3): 8-10.
(21) 정상옥. 2000. 5. 펌프의 분류 및 선정. 한국농공학회지 42(3): 18-21.
(22) 정상옥. 2000. 4. 21세기의 물, 농업, 농촌. 국제식량농업 42(4): 1-27. FAO한국협회.
(23) 정상옥. 1999. 12. 오키나와현의 토양유실 현황과 저감대책. 한국농공학회지 41(6): 6-12.
(24) 박기중, 정상옥. 1999. 12. 증발산량 추정식의 발달. 한국관개배수 6(2):47-56.
(25) 정상옥. 2006. 10. 우리나라의 수자원과 농업용수 개발. (In) 농업경제와 정책. 경북대학교 농업개발대학원 최고농업경영자과정 강의교재. pp.275-288.
(26) 정상옥. 1999. 6. 학회지 편집방향. 한국농공학회지 41(3): 28.
(27) 정상옥. 1999. 6. 관수로에서 유출구 수에 따른 마찰계수 인자 G. 한국관개배수 6(1): 81-87.
(28) 정상옥. 1998. 6. 관개배수 실행지표. 한국관개배수 5(1):107-116.
(29) 정상옥. 1996. 12. 소규모 지역의 경제적인 하수처리. 농공기술 통권 제 53호 pp.150-159. 농어촌진흥공사.
(30) 정상옥. 1996. 8. TDR을 이용한 토양함수량과 토양염도의 측정 -원리 및 적용- 한국농공학회지 38(4):53-62.
(31) 정상옥. 1995. 밭관개 방법 소개. 농공기술 제 48호 pp73-85. 농어촌진흥공사.
(32) 정상옥. 1994. 지하수 자원의 합리적 관리와 수질보호. 한국관개배수 1(2):60-70.
(33) 정상옥. 1994. 지하수 수질 감시기법. 한국수문학회지 27(3):20-24.
(34) 정상옥. 1994. 일본의 농지기반정비 사업의 현황과 전망. 농지개량 통권 제 120호, 50-54, 농지개량조합연합회.
(35) 정상옥. 1993. 지하 암거배수 및 지하관개 기법. 한국농공학회지 35(2):13-17.
(36) 정상옥. 1992. 미국 농공학계의 연구동향. 한국농공학회지 34(2):16-18.
(37) 정상옥. 1991. 침투연구의 발달과 필요성. 한국수문학회지 24(1):6-12,53.
(38) Sang-Ok Chung, A.D. Ward, and C.W. Schalk. 1991. ADAPT - AgriculturalDrainage and Pesticide Transport, User Manual. Department of AgriculturalEngineering,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io.
(39) 정상옥. 1990. 농촌 수환경의 개선방안. 농지개량 통권 제 80호, 32-38, 농지개량 조합연합회.
(40) 정상옥. 1990. 일본 농업공학연구소의 연구동향. 한국농공학회지 32(1):41-46.
(41) Sang-Ok Chung. 1990. Water management in cropping system. (in) FarmingSystems Training Course. International Agricultural Training Center,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aegu, Korea.
(42) 정상옥. 1989. 환경영향평가에 관하여. 한국농공학회지 31(2):27-34.
(43) 정상옥. 1989. 지하수자원의 수질보호. 한국수문학회지 22(2):148-153.



구분 학술지 저(역)서 학술회위 연구 기타 합계
SCI 국내 대학 소계 저서 역서 소계 국제 국내 소계 보고서

건수

12

50

12

74

20

1

21

30

50

80

67

43

285

 

9. 대학원생 지도실적

박사학위
(1) 윤학기 1990. 2. 밭 작물의 최적관개수준과 계획용수량 산정.
(2) 김현수 2002. 2. 논에서의 영양물질 배출부하량 모형개발.
(3) 손성호 2004. 2. 논의 절수관개를 위한 담수심 관리방법 연구.
(4) 박기중 2007. 2. Scenario-Based Simulation for Molinate Concentrations in Rice Paddies Using RICEWQ Model
(5) 윤동균 2010. 8. 기후변화가 논 필요수량에 미치는 영향
(6) 은코모제피 템바 2014. 2. Uncertainty of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and paddy rice irrigation in Korea


석사학위
(1) 김홍기 1989. 2. 고랑관개에서의 이차원적인 침투흐름의 분석.
(2) 김대영 1991. 2. 한국의 지하수 사용량과 수요량 추정 및 관리방향.
(3) 김현수 1995. 2. GLEAMS 모형을 이용한 농약 유실의 추정.
(4) 박기중 2000. 2. 기준작물의 증발산량 실측치와 모형 추정치의 비교.
(5) 오창준 2000. 2. 저수지 관개수온에 따른 벼의 냉수피해와 대책.
(6) 손성호 2001. 2. 논 지대에서의 물수지 분석.
(7) 김지용 2002. 2. Tank model 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
(8) 정지은 2003. 8. 다목적댐 홍수조절용지내 경작실태 및 비점오염부하량 조사분석.
(9) 김남달 2004. 8. 소규모 논지역 관개 회귀수량 분석.
(10) 윤동균 2006. 2. 유역 토지이용과 저수지 수질의 상관관계 분석
(11) 양소혜 2008. 2. 금호강 유역의 농업용수 수요 전망
(12) 은코모제피 템바 2012. 2. Uncertainty of maize irrigation requirement estimated from climate change projections in the Zimbabwe